바다에서 건진 생명의 이름들

개요

아름답고 역동적인 바닷속 사진과 함께 바다생물들의 이름 유래를 풀어내다!

우리와 함께하는 모든 것에는 이름이 있으며, 그 이름에는 뜻이 있다. 수많은 이름들 가운데 그 뜻을 이해할 수 있는 이름도 있지만,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이름도 있다. 아주 오랜 옛날, 누군가가 붙이고 또 불렀을 이름들이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지금은 어원을 알 수 없다니! 애석한 노릇이긴 하나 그런 이름들이 제법 있다. 
저자 역시 생물에 대한 이름 유래에 갈증을 느껴왔고, 옛 문헌에서 ‘고래’의 이름 유래를 알고부터 해양생물의 이름에 대해 ‘소박한 공부’를 시작했다고 한다.
용의 아들 가운데 포뢰(蒲牢)는 어떤 동물이 모습을 드러내면 너무 놀라 산천이 떠나가도록 울어댔다는데, 그 동물에 ‘포뢰를 두들겨 울린다’ 해서 ‘고뢰(叩牢)’라는 이름을 붙였고, 바로 바다 포유동물 고래의 어원이다. 

이렇게 이름을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를 정리해서 분류하니 ‘생긴 모양에서 따온 이름’, ‘생태적 특성에서 따온 이름’, ‘육지생물 이름에서 따온 이름’, ‘민담이나 전설 속에 등장하는 이름’ 등의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단다. 
예를 들면 생긴 모양에서 따온 홍어(洪魚)는 몸의 폭이 넓어 붙인 이름이지만, 어떤 문헌에서는 수컷의 음란함으로 ‘해음어(海淫魚)’라 적고 있다(260쪽). 또 생태적 특성에서 이름 붙인 ‘멸치’는 물에서 잡아 올리면 급한 성질 때문에 바로 죽어버린다 하여 ‘멸할 멸(滅)’ 자를 붙였다(88쪽).
갯강구는 좀 억울한 경우에 속하는데, 육지생물 이름에서 따온 이름을 대표한다. 바다의 청소부인데 바다바퀴벌레라니(339쪽)! 여기서 ‘강구’는 ‘바퀴벌레’의 사투리이다. 민담이나 전설 속에서 이름의 유래를 찾는 생물도 있다.
임진왜란 때 군(軍) 관기였던 ‘평선’이가 이순신 장군에게 대접했던 고기라 전해지는 군평선이는 산란 전에는 등지느러미와 가시뿌리까지 지방이 잘 배어들어가 가시까지 통째로 씹어 먹을 만큼 그 맛이 단연 최상이다. 여수 지방에서는 군평선이를 굴비보다 더 값지게 여겨 ‘샛서방 고기’라고 부른다.
본남편에게는 아까워서 안 주고 샛서방(남편 있는 여자의 외도 상대)에게만 몰래 차려준다 해서 생긴 말이란다(34쪽).

이렇듯 이 책은 바다에 기대어 사는 생물들의 이름 유래와 뜻, 그에 얽힌 온갖 이야기보따리를 풀어놓는다. 그에 곁들여 아름다운 바다생물들의 수중 사진이 우리를 즐겁게 한다. 우리나라 수중 사진작가를 대표하는 저자의 이력이 빛나는 책이라 할 수 있다.
쉽게 볼 수 있는 사진도 있지만, 쉽게 볼 수 없는 깊은 바다를 배경으로 귀엽거나 엽기적이거나 또는 역동적인 바다생물들의 모습은 이 책을 읽는 또 다른 즐거움이자 매력이다. 저자의 지독한 노력에 박수를 보내고픈 순간이다.

출처

국가환경교육통합플랫폼
링크 : 바로가기
로그인 디렉토리 협회등록신청 1:1문의